2010년 10월 25일 월요일

jQuery란 무엇인가?

jQuery란 무엇인가?


지난 몇 년간 동안에 RIA와 Ajax기술 등에 의해 자바스크립트는 그 위신을 높이게 되었다.
이런 부각된 기술을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항상 문제가 되던 크로스 브라우저 문제가 해결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중 jQuery는 다소 늦게 등장하였으나 그 만의 간결하고도 강력한 기능에 의해
많은 사이트에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왜 jQuery인가?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다 보면 엘리먼트 하나나 엘리먼트 그룹을 선택하여, 이들을 이용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의 패턴을 반복해서 따르고 있다. 선택된 엘리먼트를 페이지에서 감추거나
드러내고, 해당 엘리먼트에 CSS 클래스를 추가하거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며, 엘리먼트의 속성을
수정한다. 이런 일에 저 수준의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직접 코드를 작성한다면, 작업마다 코드를
수십 줄은 작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가 행간의 색상이 대비되는 얼룩무늬 형태의 테이블을 만든다고 할때,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면 코드를 열 줄 이상 작성해야 한다. 다음은 동일한 내용을 jQuery로 작성한 결과이다.(예제보기)
$("table tr:nth-child(even)").addClass("striped");

처음 보는 코드를 당장은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차차 이에 대해 알아보겠고, 이처럼 간결한 코드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웹 개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jQuery인 것이다.


jQuery() 함수


jQuery는 HTML 페이지의 엘리먼트를 조회한 다음 그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 중점을 둔다.
우리는 이미 CSS에서 엘리먼트의 위치를 통해 엘리먼트 그룹을 가르키는 셀렉터(선택자)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다.
jQuery를 이용하면 이를 더욱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우선 다음의 셀렉터를 보자.
p a

이것은 단락 엘리먼트에 포함된 모든 링크의 그룹을 참조한다. jQuery 또한 이와 동일한 선택자를 사용한다.
이런 일반적인 CSS선택자 외에도 전 예제에서 살펴본 것 같이 n번째 자식 선택자가 CSS3가 정의한 강력한 셀렉터의 좋은 예이다.

엘리멘트의 그룹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이 단순한 문법을 사용한다.

$(selector)

// or

jQuery(selector)



그렇다면 아까의 예를 jQuery 방식으로 나타내게 되면 $("p a")으로 표기할 수 있겠다.
이렇게 선택된 엘리먼트 그룹에 함수를 이용한다든지 새로운 CSS 클래스를 추가할 때는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div.notLongForThisWorld").fadeOut().addClass("removed");

위의 예제는 div중 클래스가 notLongForThisWorld인 엘리먼트를 페이드아웃(fadeOut)하고,
이와 함께 CSS 클래스인 removed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제 jQuery의 기초에 대해선 이정도면 살펴보고, 자세한 내용에 대해 다음 장에서 다루어 보자.

HTTP pipelining

HTTP pipelining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
Persistence · Compression ·HTTP Secure
Header fields
ETag · Cookie · Referrer ·Location
Status codes
301 Moved permanently
302 Found
303 See Other
403 Forbidden
404 Not Found

HTTP pipelining is a technique in which multiple HTTP requests are written out to a single socket without waiting for the corresponding responses. Pipelining is only supported in HTTP/1.1, not in 1.0.

The pipelining of requests results in a dramatic improvement[citation needed] in page loading times, especially over high latencyconnections such as satellite Internet connections.

Since it is usually possible to fit several HTTP requests in the same TCP packet, HTTP pipelining allows fewer TCP packets to be sent over the network, reducing network load.

Non-idempotent methods like POST should not be pipelined. Sequences of GET and HEAD requests can be always pipelined. A sequence of other idempotent requests like GET, HEAD, PUT and DELETE can be pipelined or not depending on whether requests in the sequence depend on the effect of others.[1]

HTTP pipelining requires both the client and the server to support it. HTTP/1.1 conforming servers are required to support pipelining. This does not mean that servers are required to pipeline responses, but that they are required not to fail if a client chooses to pipeline requests.

Contents

[hide]

[edit]Implementation status

Schema of non-pipelined vs. pipelined connection.

[edit]Implementation in web servers

Implementing pipelining in web servers is a relatively simple matter of making sure that network buffers are not discarded between requests. For that reason, most modern web servers handle pipelining without any problem.

Exceptions include IIS 4.[citation needed]

[edit]Implementation in web browsers

HTTP pipelining is disabled in most browsers.[2]

Opera has pipelining enabled by default. It uses heuristics to control the level of pipelining employed depending on the connected server.[3]

Internet Explorer 8 does not pipeline requests, due to concerns regarding buggy proxies and head-of-line blocking.[4]

Mozilla browsers (such as Mozilla Firefox, SeaMonkey and Camino), support pipelining however it is disabled by default.[5][6] It uses some heuristics, especially to turn pipelining off for IIS servers. does the same thing as Firefox.

Konqueror 2.0 supports pipelining, but it's disabled by default.

Google Chrome does not support pipelining.[7] nglayoutinitialpaint.dela 0

[edit]Implementation in web proxies

Most HTTP proxies do not pipeline outgoing requests.[8]

Some versions of the Squid web proxy will pipeline up to two outgoing requests. This functionality has been disabled in the latest versions for "bandwidth management and access logging reasons."[9] Squid supports multiple requests from clients.

The Polipo proxy pipelines outgoing requests.[10]

[edit]Other implementations

The libwww library made by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supports pipelining since version 5.1 released at 18 February 1997.[11]

Other application development libraries that support HTTP pipelining include:

  • Perl modules providing client support for HTTP pipelining are HTTP::Async and the LWPng (libwww-perl New Generation) library.[12]
  • Python module httplib2 provides http pipelining support.[13][14]
  • Apache Foundation project HttpComponents provides pipelining support in the HttpCore NIO extensions.
  • The Microsoft .Net Framework 3.5 supports HTTP pipelining in the module System.Net.HttpWebRequest.[15]
  • QT class QNetworkRequest, introduced in 4.4, supports HTTP Pipelining.[16]

Some other applications currently exploiting pipelining are:

Multipart XHR is implementation of pipelining (without any browser or web server support) done purely in Javascript in combination with server side scripting.[citation needed]

Testing tools which support HTTP pipelining include:

Improve FireFox Performance


Top It

Improve FireFox Performance

Posted Date: 2010-03-03 10:02, Pageview: 1143
Firefox is one of the (if not THE !) most popular browsers today, because its fast, secure and simple but significantly customisable by several add-ons available for free. But ...!
When released, it is configured to be used by the "average user", which means it?s not nearly set for power users. There are various ways to make Firefox quicker and perform better. Here?s a list of tips on how to make your Firefox run faster - lets start with the less important ones and the way through.

1. Drop the themes
Some users reported slower performance when using some graphically heavy themes. Personally, I never witnessed any drop in performance even with extremely "heavy" themes, but if you felt slowness while using a theme, that might be the case. Most themes I ever tried never resulted in any kind of performance loss.

All of the tweaks from here below are done in the Firefox advanced configuration menu. To see the many advanced configuration option type "about:config" (without double quotes) in the address location bar and press Enter.

2. nglayout.initialpaint.delay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milliseconds Firefox will wait before it starts acting on information it receives, mainly display a website layout. This brief delay allows Firefox to load and arrange the various page components as correctly as possible. The default is 250 milliseconds, you can try setting this to a lower figure to see if it improves the responsive time of Firefox. However, it?s a controversial tweak and in many cases reducing this value resulted in longer load times.

3. Disable Google Prefetching (network.prefetch-next)
A feature introduced by Google - but used by other websites as well - is whats called the Google Prefetch. This is a Mozilla/Firefox browser feature only which tries to loadup what Google believes is the most likely page a user will want to view next. It does this in the background without informing the user. Beside clogging bandwidth, it may mistakenly indicate a user visited a website he never really did. We can all imagine the kind of trouble people can get into with this feature enabled at their workplace.
This feature causes a headache to webmasters as well, when their site is fetched by user?s browser while no one actually viewed the site.
To disable this feature in Firefox, go to about:config, find the network.prefetch-next setting and set it to false. This is recommended as it will improve security, but again the choice is up to you.

4. Browser cache memory browser.cache.memory.enable
This setting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browser.cache.memory.capacity setting below. If set to true, Firefox will use the value specified in the browser.cache.memory.capacity setting. If set to false, Firefox will not use any RAM to cache, resulting in a huge performance drop.

5. Browser cache capacity browser.cache.memory.capacity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uch RAM Firefox uses to cache itself, improving performance. A value of 0 turns off caching into RAM (not recommended), while a value of -1 tells Firefox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amount of RAM to use. You can manually specify the amount of RAM to be used (in bytes) to prevent Firefox from blowing out too much. A value of 32768 (32MB) for systems with 512MB of RAM or more. For those with less RAM, try a value of 16384 (16MB). If you have any problems, set this value to -1.

6. Maximum number of popup windows dom.popup_maximum
This setting determines the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popup windows which Firefox can have at any given time. The default is 20, a lower number can get you out of a bind. This of course depends on your style of browsing.

7 . Number of DNS entries cached network.dnsCacheEntries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entries Firefox holds in it?s DNS cache. By holding DNS entries in a local cache, Firefox can load it up without the need for a lookup, making it fetch the site faster. By default Firefox holds 20 entries in the cache. Increasing that number to the number of sites you regularly visit will improve performance.

8. Number of http connections network.http.max-connections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simultaneous HTTP connections can be made by Firefox. The default is already 24, however for most power users this is not nearly enough, a value of 48 or upto 96 will allow more open connections, thereby speeding up browsing multiple pages. The maximum is 65535, but any number near or above 300 connections will probably slow down your entire system.

9. Number of http connections per server network.http.max-connections-per-server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simultaneous connections can be made to a single server. The default is 8, but you can increase the value to in the area of 16 or 32 to attempt to increase browsing speed. The maximum is 255, but most servers will refuse so many connections and may flag you as an abusive connection.

10. Maximum number of persistent connections to a proxy network.http.max-persistent-connections-per-proxy
When connected to a proxy,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persistent connections are kept alive at any given time. The default is 4, you can set it to 8 to improve browser speed. Do not increase this figure too much it may add too much strain on your proxy server and hurt it?s general performance.

11. Maximum number of persistent connections to a server network.http.max-persistent-connections-per-server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connections are kept to a single server at any given time. The default is 2, but you can increase it to 8. Raising this to a too high value will strain the website server you are connected to and will either result in a refused connection, or slower response times.

12. Network pipeline network.http.pipelining
If set to True, this setting uses the new HTTP Pipelining feature supported by most servers and proxies. This can improve browsing speeds, however because the feature is not supported by all servers you may experience problems. I recommend setting this to True and only disabling it if you experience such problems as refused connections or unusual behavior.

13. Maximum number of requests network.http.pipelining.maxrequests
This setting determines the maximum number of requests to send when using the HTTP Pipelining feature. Default is 4, and the maximum possible is 8. Setting it to 8 will increase performance but may cause very rare undocumented problems in which case you can reduce it back to 4 any time.

14. Network pipeline for proxy network.http.proxy.pipelining
This setting enables the HTTP Pipelining feature for proxy servers. Same as above, take note that not all proxies will support this feature.

‘모바일 브라우저 전쟁’ 안드로이드용 6종 벤치마크

‘모바일 브라우저 전쟁’ 안드로이드용 6종 벤치마크

기사입력 :
2010.10.01 17:54
Ginny Mies, Brent Hopkins

솔직히 말해서, 안드로이드 브라우저는 완전하지 않은 브라우저이다. 매 업데이트(안드로이드 2.2의 경우 특히 새로운 자바 스크립트 엔진이 있는 브라우저의 속도를 개선했다)를 할 때마다 성능이 개선되고는 있지만,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일부 브라우저와 비교해 안드로이드 브라우저는 매우 기본적인 수준에 그친다.

플래시 측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 안드로이드 2.2 (프롱)로 업그레이드 한 장치는 플래시 10.1을 지원하지만, 모든 안드로이드 장치가 이러한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행히도 사용자에게는 선택의 옵션이 있다. 여러 타사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기능이 많고, 소수의 브라우저는 일부 플래시 버전을 지원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들 중 특히 4가지 브라우저가 눈에 띈다. 스카이파이어(스카이파이어) 2.0, 돌핀(Dolphin) HD, 오페라 미니(Opera Mini), 모질라 페넥(Mozilla Fennec ; Firefox Mobile로도 알려짐)이 그들이다.

PC월드는 위의 4가지 브라우저를 깊이 살펴보았고,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발견했다. 또한 각각의 페이지 로딩 속도를 측정했고, 이들 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2.1과 2.2의 기본 브라우저를 비교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이러한 타사 브라우저가 내장 안드로이드 브라우저보다 더 낫고 빠른가? 이러한 브라우저가 어떻게 내장 브라우저를 대신할 수 있는가? 다운로드 받을 만큼 가치가 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다음을 읽어보자.

스카이파이어 2.0

스카이파이어 2.0는 웹 비디오를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브라우저다. 플래시(대부분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작동하는 어도비 기술)가 없는 장치에서도 두드러지는 강점을 가진다.

스카이파이어는 고유 웹 서버에서 비디오를 트랜스코딩하고 이를 안드로이드가 호환되는 형식으로 폰에 제공한다. 이 기능은 많은 웹 비디오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모든 웹 비디오에서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장 브라우저의 비디오 재생 측면에서 획기적인 개선이다. 특히, 플래시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2.2가 아직 보급되지 않은 환경에서 빛을 발한다.

스카이파이어는 또한 데스크톱 브라우저처럼 동작하는데도 탁월하다. 데스크톱용 웹사이트에도 잘 접근할 수 있다. 내장 안드로이드 브라우저에 대해 불만스러운 점 중 하나는 많은 사이트가 내장 안드로이드 브라우저에 대해 단순하고 휴대 전화에 최적화된 페이지로 서비스를 해서 데스크톱 브라우저에서 가능한 일반적인 페이지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다.

내장 안드로이드 브라우저가 여러 창을 열 수 있지만 이 브라우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많은 창 간에 쉽게 탐색할 수 없다. 스카이파이어는 툴 바에서 버튼을 눌러 창 탐색을 단순화한다. 또한 파일 다운로드 관리자가 있어서 이를 통해 다운로드 진행 상황을 볼 수 있고 최근에 다운로드한 파일의 목록을 볼 수 있으며 클릭해서 이들 중 하나를 열 수 있다.

이러한 훌륭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스카이파이어의 안정성에 대해 의구심이 생긴다. 왜냐하면, 스카이파이어 2.0은 테스트를 수행하는 동안 충돌이 발생한 유일한 브라우저였기 때문이다.

돌핀 HD

돌핀 HD는 모질라의 유명한 데스크톱 기반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저에서 많은 영감을 얻은 것 같다. 파이어폭스처럼 돌핀 HD는 탭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애드온(add-on)을 설치할 수 있다. 현재 42개의 애드온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수는 점차 증가할 것이다.

최고의 애드온으로는 ‘QR Share’(현재 사용하고 있는 웹 페이지 URL의 공유 가능한 2D 바코드를 생성), ‘Adblock Plus’, ‘Tab History’, ‘Del.icio.us Bookmarks’, ‘Wikipedia Search’ 등이 있다.

원하는 만큼 많은 애드온을 설치할 수 있다. 애드온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자주 사용하지 않은 애드온을 비활성화해서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다. 브라우저의 외형(주로 컬러)을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테마도 사용할 수 있다.

북마크(Bookmarks)와 이력(History)에 접근하기 위해 간단히 화면에 대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파이어폭스 같은 사이드바가 열린다. 수행을 완료했으면 다시 화면에 대고 드래그 하면 사이드바가 닫힌다.

이와 비슷하게 화면에 대고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툴바를 열 수 있어서 설치된 애드온과 테마에 접근할 수 있다. 파이어폭스와 같이 돌핀 HD에는 애드온 갤러리로의 내장된 링크가 있다.

안드로이드 폰이 플래시를 지원하는 경우(즉, 안드로이드 2.2로 업그레이드를 한 경우) 돌핀 HD는 플래시를 지원한다. 안드로이드 2.2를 구동하는 HTC EVO 4G 폰으로 테스트한 결과, 돌핀 브라우저 HD는 ‘Blip.tv’, ‘The Onion’, ‘Vimeo’, 유투브에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었다.

오페라 미니

오페라 미니는 낮은 대역폭 또는 좋지 않은 데이터 커버리지 상태를 최대한 활용한다. 서버측 압축을 통해 오페라는 웹 페이지의 외형을 최대한 남겨두면서 휴대 장치가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든 웹 페이지를 제거한다. 그 결과, 페이지의 구성이 개선되어서 낮은 신호 영역에서도 로딩 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가 빛처럼 빠르면(아래의 속도 테스트 결과 참고)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스트리밍 비디오를 지원하지 않는다. 어차피 스트리밍 비디오의 경우 낮은 대역폭 상태에서 잘 작동하지 않지만 말이다. 오페라 미니에는 또한 내장 RSS 피드 리더와 웹 기반 북마크 싱크 서비스인 오페라 링크가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하고 손가락으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툴바는 화면의 하단에 있고 여기에는 아이콘으로 라벨링 되어 있는 뒤(Back), 앞(Forward), 윈도우(Windows), 도구(Tools) 버튼이 있다.

툴 버튼에는 북마크(Bookmarks), 이력(History), 시작 페이지(Start Page) (자유 사용하는 북마크의 구성 가능한 속도 다이얼), 저장 페이지(Saved Pages), 다운로드(Downloads), 설정(Settings), 페이지 내 검색(Find in Page), 도움말(Help) 등 8개의 버튼 메뉴가 있다.

모질라 페넥

모질라의 페넥 모바일 브라우저는 여전히 개발 초기 단계(알파)지만, 유명한 파이어폭스 데스크톱 브라우저와 데이터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타사 안드로이드 브라우저와 겨를 수 있는 실질적인 경쟁자가 되었다. 단 반드시 안드로이드 2.0이나 그 이후 버전이 있어야 한다.

오늘날 페넥은 자그마치 11.5MB에 달한다. 이 앱은 너무 커서 시동하는데 긴 시간이 필요하고 구동하는 도중 종종 장애가 발생한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인기를 얻으려면 크기가 작아져야 할 것이다.

페넥은 파이어폭스에서 포팅한 수 많은 애드온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특별한 싱크 성능을 가지고 있다. 파이어폭스 싱크라 불리는 훌륭한 기능을 사용하면 데스크톱에서 사용하는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통해 동일한 북마크, 브라우징 이력, 탭, 암호를 공유할 수 있다.

페넥은 훌륭한 가문의 모바일 브라우저이지만 현재는 명시한 대로 알파 버전으로 진행중인 상태이고 안드로이드 마켓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원하는 경우 알파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원한다면 모바일 장치에서 시험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안드로이드 폰이 타사 앱을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한 AT&T에서 출시되지 않는 한 그렇다.

속도 테스트

인터페이스와 기능이 전부가 아니다. 속도 또한 중요하다. 어떠한 브라우저가 속도 측면에서 빠르고 느린지 알기 위해 각 브라우저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비교했고, 이러한 속도를 내장 안드로이드 2.1과 2.2 브라우저의 속도와 대조했다. 페넥을 제외하고 Droid X 폰에서 모든 브라우저를 테스트 했고, 페넥은 HTC EVO 4G에서만 실험했다.

콘텐츠 다양성을 위해 여러 웹 페이지를 테스트 하기로 했다. ‘ThrasherMagazine.com’은 비디오 포맷이 혼합된 극단적인 미디어 중점 사이트이다. ‘Wikipedia’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기반이다. ‘PCWorld.com’과 ‘NYTimes.com’에는 텍스트, 이미지 및 광고가 있다. ‘Amazon.com’에는 텍스트, 작은 이미지, 전자 상거래 요소가 있다. 모든 경우, 이러한 사이트의 데스크톱 버전을 테스트하고, 불필요한 것을 모두 뺀 모바일 버전은 지양했다.

각 브라우저에 대해 5페이지를 로딩했고 각각의 로딩 시간을 측정한 후 모든 경우의 평균적인 로딩 시간을 계산했다. 라이브 페이지(브라우저의 캐시가 아닌 웹에서 이들 페이지를 내린다)에 대해 이를 먼저 수행한 후, 페이지의 캐시(또는 저장) 버전에 대해 수행했다. 결과는 아래의 차트에 나타나 있다.

속도 결과: 라이브 페이지

인터넷에서 라이브 페이지를 로딩할 때 스카이파이어 2.0은 테스트에서 모든 타사 브라우저 중 가장 빠른 평균 속도(8초)를 보였다. 오페라 미니는 스트리밍 웹 페이지(위에서 논의)의 방법이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오페라 미니는 평균적으로 11.4초 내에 5개의 웹 페이지를 로딩했다.

돌핀 HD는 인상적인 기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라이브 페이지의 로딩 속도는 완전하게 출시된 타사 피어에 비해 매우 느렸다. 평균 속도가 18초였다. 페넥은 알파 브라우저로 다른 브라우저보다 월등히 느렸다. 평균 속도가 23.8초였다.

또한, 안드로이드2.2의 브라우저는 라이브 페이지 로딩을 상당 부분 개선한 것처럼 보인다. 안드로이드 2.2 브라우저는 평균 11.3초로 라이브 페이지를 로딩했다. 이는 안드로이드 2.1과 비교해 전체적으로 7.2초를 단축한 수치이다.

속도 결과: 캐시 페이지

저장된 혹은 캐시 페이지의 로딩 속도는 위와 비교해 약간 차이가 있었다. 오페라 브라우저는 이 항목에서는 가장 빨랐다. 테스트 페이지를 로딩하는데 평균적으로 6.1초가 걸렸다. 스카이파이어와 돌핀 HD가 그 뒤를 따랐다. 각각 7.9초와 11.1초였다. 그리고 페넥은 이 항목에서도 제일 늦어서 15.7초가 걸렸다.

안드로이드 2.2 내장 브라우저는 안드로이드 2.1에 비해 캐시 페이지를 로딩하는데 빠르지 않았다. 안드로이드 2.2 브라우저는 캐시 페이지를 로딩하는데 7.8초가 걸렸지만 이전 버전인 안드로이드 2.1은 평균적으로 7.5초가 걸렸다.

결론

우리는 시간의 차에 대해 논했다. 하지만, 웹 속도에 대해 논한다면 페이지 로딩을 기다릴 때 초(sec)는 시간과 같을 수 있다. 브라우저 속도의 중요성을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달렸다. 라이브 페이지를 로딩하는데 23.8초(페넥의 평균적인 속도)가 걸렸는지 11.3초(안드로이드 2.2 브라우저의 평균적인 속도)가 걸렸는지 사용자은 알아챌 것인가?

이에 더해, 브라우저를 선택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모바일 브라우징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하는 지와 크게 관련이 있다. 좋지 않은 커버리지 환경에서 브라우징을 하는 경우 오페라 미니가 가장 좋은 성능을 제공할 것이다.

셀 커버리지가 문제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플러그인에 관심이 있고 제스처 컨트롤(gesture control)을 통해 브라우저를 제어할 생각을 하는 경우 돌핀 HD가 페이지 로딩 속도가 좀 느리긴 하지만 그 답이 될 수 있다.

플래시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이 사용자의 우선 순위 목록에서 상위에 있다면 안드로이드 2.2 이전에는 스카이파이어가 명백한 답일 것이다. 스카이파이어의 페이지 로딩 속도는 인상적이다.

이러한 타사의 모든 브라우저는 내장 안드로이드 브라우저와 비교해 틈새를 개척했고, 일부 사용자들이 다운로드를 할 수 있을 성능을 갖추었다. 이런 부분이 안드로이드의 장점이다. 여러 선택 사항이 있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세 가지 브라우저 중 전체적으로 볼 때 최고의 브라우저로 스카이파이어를 선택한다. 페이지 로딩 속도가 가장 빠르고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비디오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물론, 많은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2.1 내장 브라우저를 매우 훌륭한 브라우저로 인식하며 사용할 것이다. 좀 더 많은 장치에서 사용이 가능해 지고 있기 때문에 플래시 지원 안드로이드 2.2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더 좋다. editor@idg.co.kr